본문 바로가기

매일일기352

193화. 악인 악인에게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그것은 바로 악인은 자기 자신을 증오한다는 점이다. 악인이 악행을 계속해서 저지르는 것은 자기 자신에 대한 학대행위를 함으로써 자신에게 상처를 입히고 벌을 주는 것 같은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악인들이 그러한 감각에 중독되어 악행을 계속해서 저지르는 동안 선량한 사람들은 그들에게 아무런 예고 없이 피해를 당한다. 그렇기 때문에 악인들이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히기 전에 그들 안에 있는 자신에 대한 증오를 끊어주어야 한다. 그들이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자신을 사랑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도록 주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도와줘야 한다. 그렇지 않고 그들이 악행을 저지르고 벌을 받는 것을 방치하기만 한다면, 사회는 머지않아서 악인들의 세상으로 변하고 말.. 2022. 12. 4.
192화. 요리와 힘 어떤 자리에 요리의 개수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바로 그 자리를 만든 사람의 힘을 과시하는 것이다. 요리를 준비한다는 것은 무언가를 이루고 사람들에게 축하받고 그들에게 대접하기 위함이다. 고로 요리의 개수는 그 사람의 힘을 알 수 있는 좋은 예가 되어준다. 요리의 질과 개수로 성취의 질을 알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렇기에 누군가에게 요리를 대접한다는 것은 자신의 힘을 과시할 수 있는 아주 효과적인 행동이 되는 것이다. 인간 사회에서 개개인의 힘은 신뢰와 이미지에서 나오기 때문에 이러한 자리들은 곧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돈독하게 만들고 자신의 위치와 힘을 알리는 좋은 자리가 되는 것이다. 2022. 12. 3.
191화. 규칙 질서를 만들기 위해서, 나쁜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 혹은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규칙이나 법률이라는 것이 만들어진다. 하지만 그 이후에는 규칙이 존재하기 때문에 새로운 상황이 형성된다. 규칙으로 인해서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고 규칙이 필요했을 때의 상황과 완전히 달라져 버리는 것이다. 규칙을 다시 폐지하려고 한다 해도 규칙이 없었던 과거와는 사람들이 생각과 인식이 너무나도 달라져서 일단 만들어진 규칙은 사람들의 생활에 완전히 흡수된 상황이 되는 것이다. 규칙은 환경도 인식도 모든 것을 바꾼다. 그래서 규칙을 만들 때는 항상 신중해야 하는 것이다. 인간은 결국 같은 것을 믿기 때문에 집단이 된다. 규칙이라는 믿음이 생기고 규칙이 바뀌면 집단의 믿음도 변해야 하기 때문에 규칙은 사회에서.. 2022. 12. 2.
190화. 조직에 안맞는 다른 사람들보다 깊고 넓은 사고의 폭을 가진 사람은 조직이나 파벌에 속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런 사람은 어느 순간에 조직과 파벌의 이해보다 더 높은 사고를 하기 때문이다. 조직과 파벌이라는 것은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나기보다 자신은 발전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서 자신의 이권을 챙기는 족속들이 모여 만들 것이다. 그런 조직이나 파벌에 어떻게 다른 사람보다 뛰어난 사람이 묶여있을 수 있겠는가? 좁은 우물에서만 노는 개구리는 결국 우물 안이 세상 전부인 줄 안다. 하지만 그곳을 부정하는 사고의 폭을 가진 사람은 더 넓은 곳으로 가야만 하는 운명을 가진 것이다. 그러니 조직이 맞지 않다고 가슴앓이만 하지 말고 자신의 생각이 우물보다 더 높은 곳을 향해있지는 않는지, 자신은 어느 정도의 노력과 성과로 조직과 .. 2022. 12. 1.